반응형 항공42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 B747, A380 항공기 보유 대수 4발엔진 항공기의 대표, 보잉의 B747 항공기와 에어버스의 A380 항공기를 국내 메이저항공사는 몇대를 보유하고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대한항공입니다. 대한항공은 B747-8i 기종의 여객기 9대와 B747-400ERF 기종의 화물기 4대, B747-8F 기종의 화물기 7대, 총 20대의 B747 항공기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여객기인 B747-8i기종 9대는 2031년까지 순차적으로 퇴역 예정이라고 합니다. 대한항공의 B747-8i 여객기는 퍼스트클래스 6석, 프레스티지(비즈니스) 48석, 이코노미 314석, 총 368석 입니다. 그리고 대한항공은 A380-800기종의 여객기 10대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A380-800 여객기는 2026년부터 순차적으로 퇴역 예정입니다. 대한항공의 A380-800.. 2022. 9. 7. 미국 항공사 조종사 부족 사태, 구인난에 채용 조건 완화 코로나 대유행 이후 최근 들어 미국에서는 여행 수요가 급증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주요 항공사들이 조종사 구인난으로 인해 항공기 운행에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한국에 비해 구조조정이 수월한 미국에서는 2020년 봄 코로나 대유행이 시작되면서 항공 수요가 급감하자 신규 채용을 줄이고 기존 파일럿들의 희망퇴직을 시행했습니다. 그 여파로 조종사가 줄어 여행 수요가 급증한 지금은 극심한 조종사 구인난에 직면했습니다. 이로 인해 오히려 항공사들은 국내선 항공편을 대폭 줄이고, 항공기가 운행 불가 상태로 묶여 있게 되었습니다. 유나이티드는 조종사가 부족해 국내선 항공기 100기가 운행 불가 상태에 있다고 밝혔습니다. 조종사 부족 사태는 단기간에 해결되기 어려워 향후 5년가량은 조종사 인력난이 계속될 수 있다고 스콧.. 2022. 9. 1. 길어지는 코로나에 다른 일자리를 찾는 항공사 직원들 코로나시대가 시작된지 벌써 2년반이 훌쩍 넘었습니다. 그런데 운항 편수는 여전이 2019년 3분의 1 수준으로 회복세가 많이 더디게 진행되고 있습니다. 코로나 사태가 길어지면서 반복되는 휴직에 지쳐 다른 일자리를 찾아 떠나는 직원들이 늘고 있습니다. 항공사들은 최근 여객 수요가 회복하고는 있지만, 휴직자들 전원 복귀까지는 아직 시간이 더 필요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항공업계는 최근 여객 수요가 되살아나고 있어 빠른 회복을 기대하고는 있지만 코로나 이전 수준으로 회복하려면 아직 시간이 더 필요하다는 입장입니다. 운항 편수가 빨리 늘어나면 그만큼 직원들의 복귀도 빨라질 수 있겠지만, 코로나의 재확산과 경기 침체에 따른 여행 수요 감소의 영향으로 아직 정상화 시기를 예단 할 수 없는 상황입니다. 티웨이항.. 2022. 8. 27. [항공법규] 항공안전법 / 항공기 정의, 범위 / 항공업무 / 항공종사자 / 공항시설(기본시설, 지원시설) / 항공기사고 / 항공기준사고 ▶ 항공안전법 제1조(목적) 이 법은 「국제민간항공협약」 및 같은 협약의 부속서에서 채택된 표준과 권고되는 방식에 따라 항공기, 경량항공기 또는 초경량비행장치의 안전하고 효율적인 항행을 위한 방법과 국가, 항공사업자 및 항공종사자 등의 의무 등에 관한 사항을 규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 항공안전법 시행규칙 제1조(목적) 이 규칙은 「항공안전법」 및 같은 법 시행령에서 위임된 사항과 그 시행에 필요한 사항을 규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 항공기의 정의 항공안전법 제2조(정의) 제1호 “항공기”란 공기의 반작용(지표면 또는 수면에 대한 공기의 반작용은 제외한다. 이하 같다)으로 뜰 수 있는 기기로서 최대이륙중량, 좌석 수 등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기준에 해당하는 다음 각 목의 기기와 그 밖에 대통령령으로 정.. 2021. 9. 8. 대한항공 '하늘 위 호텔' A380, B747 기종 10년 내 퇴출할 것 대한항공이 10년 내에 대형 여객기인 에어버스 380-800과 보잉 747-8i의 운항을 중단하고 완전 퇴출할 계획이라고 합니다. 대한항공의 주력 대형 여객기인 A380-800(407석)은 5년 내, B747-8i(368석)은 10년 내 퇴출 예정이라고 합니다. 현재 대한항공은 각각 10대씩 보유하고 있습니다. 늘어나는 항공수요를 맞추기 위해 대형기를 도입하고 운영해 왔지만, 많은 자릿수를 모두 채우고 운항하기 어려운 만큼 효율성이 높은 중형기로 대체 편성할 계획입니다. A380과 B747 기종은 대형 항공기답게 4개의 엔진으로 비행을 하는데, 비행기 부품 중 가장 비싼 것이 엔진인 만큼 항공기의 가격도 비싸지고, 보유하는 동안 정비 비용도 많이 들게 되어 대형기의 이점인 대량 수송이 어려운 경우엔 운영.. 2021. 9. 2. 이전 1 ··· 5 6 7 8 9 다음 반응형